Tuesday, November 21, 2006

Manchester




new published book: The Meaning of Art






[조선일보 2006-11-17 21:38:22] [조선일보 이규현기자]

예술=미(美)라는 생각 버려라

예술의 의미 허버트 리드 지음 | 임산 옮김 | 에코리브르 | 304쪽 | 1만6500원


“이런 것도 예술이야?” 괴기스러운 그림을 보고 이렇게 말한다면 그 이유는 아마 ‘예술=미(美)’라는 생각 때문일 것이다. 영국의 미술비평가이자 시인인 저자는 “예술과 미를 동일시하는 바람에 우리는 예술을 감상할 때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해 무릎을 치게 만든다. 1931년에 씌어진 이 책은 예술과 미의 개념을 분석하고, 원시부터 현대까지 실제 그 개념이 어떻게 형상화돼 왔는지 시대순으로 짚는다. 술술 읽히는 쉬운 책은 아니다. 하지만 “예술은 마음을 기쁘게 하는 형식을 창조하려는 시도” “예술은 지성적 활동이라기보다는 직관적 활동이다. (그래서) 원시예술이 그리스 예술보다 미의 등급 면에서 하위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예술작품을 바라보다 즉각적인 해방을 경험할 수 있다”는 해석 등은 ‘대체 예술이 무엇인가’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해답을 줄 수 있을 듯하다. 작가는 시대별 미술의 특징을 설명한다. 단, 간추린 서양미술사는 아니다. 예를 하나 들자면 풍경화의 종주국인 영국의 게인스버러, 컨스터블, 터너의 예술에는 ‘자연을 신뢰하는 태도’가 있었다는 점에서 독일 예술의 ‘즉물주의’, 프랑스 예술의 ‘냉소적 사실주의’와는 다르다라고 설명한다.

(이규현기자 [블로그 바로가기 kyuh.chosun.com])

==========================================
[경향신문]

직관으로 이해하고 감성으로 느껴라

영국의 미술비평가이자 시인인 허버트 리드가 80여 년 전 쓴 ‘예술의 의미’는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 물음에 답하는 책이다. 리드가 내놓은 답은 ‘예술은 인간 본성의 발현’이라는 것이다.

이 답은 웬만한 사람이라면 떠올릴 수 있는 것 아니냐고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추상예술을 비롯한 갖가지 예술이 등장하던 20세기 초, 그 어리둥절한 시대에 쉬운 답이 아니었다. 순수예술 옹호자인 리드는 예술을 설명하거나 사상으로 해석하려는 행동을 못마땅해 했다. 그에 따르면 예술은 직관으로 이해해야 하고 감성으로 느낌으로써 일종의 마음의 해방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사상이 난무하고 이런저런 잣대로 예술을 재단하는 당시 상황을 그는 마음 아파했을지 모른다. 리드의 심정은 어쩌면 게오르그 루카치가 명저 ‘소설의 이론’ 첫머리에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의 지도를 읽을 수 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라고 토로한 심정과 비슷할지 모른다.

결과적으로 예술에 대한 리드의 정의는 가장 보편적이고 가장 명료한 것이 됐다. 위대한 예술작품이 시대를 초월해 감동을 주고 그 가치가 빛나듯이 리드의 예술론 또한 시대를 초월해 가치를 빛낸다. 예술론을 공부하자면 허버트 리드의 ‘예술의 의미’를 꼭 거쳐야 한다. 굳이 전문적으로 파고들고자 하는 생각이 없더라도 이 책은 읽기에 어려움이 없어 교양서로도 손색이 없다.

리드는 예술과 미를 구분할 것을 주문한다. 리드는 예술을 감상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예술과 미를 동일시하는 데 기인한다고 본다. “예술이 반드시 미는 아니다”라는 그의 말은 바꿔 말하면 ‘아름답다고 해서 모두 예술은 아니라’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은 물론 인간의 감성에 호소한다. 그러나 리드의 가르침을 따른다면 또 하나 구분해야 할 것이 있는데 그것은 예술과 감상성(感傷性)이다. 예술과 감상성은 둘 다 억제되어 있는 우리의 감정을 해방시킨다. 그러나 예술과 감상성은 다음과 같이 본질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감상성은 해방이면서 일종의 느슨함이요, 정서의 이완이다. 반면 예술은 해방이면서 동시에 긴장이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감정의 절제이고 훌륭한 형식을 키우는 정서이다.” 예술과 감성의 차이를 명쾌하게 정의한 리드의 이 말은 그의 통찰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대변해준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형식과 내용을 가볍게 다룬 것은 아니다. 오히려 리드는 예술에서 형식과 내용을 굉장히 중요시했고 여러 요소의 유기적인 결합, 즉 통일성을 예술작품의 필수조건으로 꼽았다. 형식과 내용을 무시한다면 그것은 예술이 아니라 감상성에 어울리는 것이 될 것이다. 형식과 내용, 통일성이 멋지게 조화해야만 진정 아름다운 예술이 될 것이다.

리드는 이와 같은 예술론에 입각해 석기시대 암벽화, 부시맨의 암면채화 등 원시예술부터 20세기 초의 예술까지 설명한다. 대부분 회화, 조각, 건축, 공예와 같은 조형예술에 치중하고 있어 음악과 문학을 포괄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작품해석, 작가론, 예술의 의미와 가치 등이 망라돼 있어 ‘예술론’이라는 카테고리에 묶이는 데는 무난하다. 1950년 발표된 곰브리치의 기념비적 저작인 ‘서양미술사’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간략하게나마 서양미술사를 정리했다고 볼 수도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 1985년 문예출판사를 통해 소개된 적이 있으나 저작권 문제로 절판되었다가 이번에 저작권 협의를 마치고 재출간된 것이다. 번역자도 바뀌었다.

<임형도 기자>

Friday, September 22, 2006

Liverpool



Thursday, August 31, 2006

new published book: Life and Art of Albrecht Durer



<한겨레신문>

이탈리아엔 미켈란젤로, 독일엔 뒤러

북유럽 르네상스 이끈 뒤러 활자혁명과 결합한 판화로근대로의 블루오션 개척 독일이 아끼는 국민화가로 추앙



합스부르크 황제 카를 5세가 조각가 미켈란젤로에게 물었다. 꼭 이루고 싶은 소원을 하나만 이야기해보라고. 뜻밖의 제안을 들은 미켈란젤로는 잠시 궁리를 하는가 싶더니 엉뚱한 대답을 내놓았다.
“제가 세상에서 가장 부러운 사람은 뒤러입니다. 저한테 황제 자리를 준다면 당장 도망치겠지만.”

연금이나 두둑하게 달라는 말이 나올 줄 알았던 카를 5세는 헛다리짚은 셈이 되었다. 르네상스 이탈리아의 거장 미켈란젤로가 황제자리도 마다면서 꼭 되고 싶었다는 뒤러는 도대체 어떤 사람이었을까?

뒤러 평전이 드디어 우리말로 출간되었다. <인문주의 예술가 뒤러>를 펼쳐 든 순간, 분하면서 고마운 생각이 들었다. 언젠가 손대리라고 진작 침을 발라두었는데 차일피일 게으름 피다가 선수를 빼앗겼으니 애통하면서 분했고, 이런 흥미진진하면서도 난해하기 짝이 없는 번역의 수고를 덜게 되었으니 인문학에 대한 책무를 덜게 되었다는 생각에 홀가분하면서도 고마웠던 것이다.

뒤러는 르네상스 독일 화가다. 지금은 유로화로 통일되었지만, 이전의 독일 마르크 화폐에는 뒤러의 작품이나 그의 스타일이 거의 싹쓸이를 했다. 조금 과장을 한다면, 독일 사람들은 미켈란젤로에다 피카소를 덤으로 끼워서 준다고 해도 자기네들 국민예술가인 뒤러와 바꾸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혹시 코리아의 세종대왕과는 바꾸고 싶어 할지 모르겠다.

뒤러 평전을 쓴 사람은 파노프스키다. 미술사학의 아버지이자, 인문학계의 진정한 괴물로 일컫는 인물이다. 미술사나 근대 사학을 전공한 사람들은 100종이 넘는 파노프스키의 저작 목록을 훑어보고 깜짝 놀랐다가, 그 목록들이 하나같이 학계에서 고개를 설레설레 젓는 초난감 주제들이라는 사실을 깨닫고는 그만 대경실색하게 마련이다. 특히 책상물림 인문학자들이 손사래치는 르네상스 원근법, 인체비례, 도상해석학 등의 굵직굵직한 주제들은 파노프스키의 손을 거쳐서 비로소 본격적인 연구의 물꼬가 트였다. 한 마디로 실전교관 파노프스키의 인문학 지옥캠프에서 극기 훈련을 통과하지 못한 사람은 학문의 군기가 제대로 잡혔다고 말할 수 없다.

미술의 황금시대를 연 것은 르네상스였다. 르네상스는 예술이 모든 인문학과 자연과학 그리고 종교와 사상과 철학을 앞서서 이끌었던 시대였다고 한다. 르네상스가 이탈리아에서 발원한 것은 모르는 사람이 없다. 그러나 르네상스 바이러스가 알프스를 거쳐 북유럽에 넘어오는 감염경로를 따지는 사람은 별로 없다.

뒤러는 1494년과 1505년 이탈리아를 두 차례 방문했다. 그리고 이탈리아 화가들로부터 원근법과 인체비례이론 등 유럽 최고의 첨단 미술이론을 배워왔다. 주머니에 먼지 풀풀 날리는 빈털터리 주제에 예술의 진보를 위해 제 삶을 투척했다는 점에서, 목숨을 건 생체실험 끝에 결핵 백신을 발견한 의사 파스퇴르의 업적에 비길 수 있다. 뒤러의 이탈리아 방문이 없었더라면 북유럽 르네상스는 17세기에나 시작되었을 것이다.

노성두/서양미술사학자
: adapted from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153464.html

Tuesday, August 29, 2006

Thursday, August 17, 2006

Tuesday, August 15, 2006

Monday, August 14, 2006

Sunday, July 23, 2006

레바논

Friday, July 21, 2006

아군

친구든 후배든 동료든 제자든 인생에서 든든한 아군을 가지고 있어서 행복하다고 느낄때엔 그리 오래 산 인생은 아니지만 '인생 살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Monday, July 17, 2006

이스라엘...


언제 정신 차릴까 이 나라는...

Sunday, July 16, 2006

물난리

Wednesday, July 12, 2006

anti FTA


Tuesday, July 11, 2006

월드컵이 끝나고

이탈리아가 예상대로 우승했다.
애초에 나는 이탈리아와 브라질 가운데서 우승팀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이유는 간단하다. 그들은 수비수가 탁월하니까.

상대적으로 공격수와 공격루트는 유럽 유수의 팀들이 다들 엇비슷하다. 시간이 흐를수록 더 그럴 것이다.

암튼 이탈리아는 정말 생긴 것처럼 멋지게 축구를 한 나라로 다시한번 기억에 남는다.

축구는 손이 아닌, 발로 하는 경기다. 그래서 손보다 정교하지 못하다. 가끔은 못하는 팀이 이기기도 한다.

하지만 기본기가 어느 정도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요행을 바라기 쉽지 않다. 우리나라가 그렇다.

잘은 모르지만, 내 생각에 축구의 기본기는 자기한테 볼이 왔을 때 뺏기지 않고 일단 자기 발에 붙이는 것이고 그 다음에 다른 선수에게 의도한 대로 패스를 하는 것이다. 역주행을 한 설기현 선수를 유럽의 스카우터들이 좋아하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다. 역주행을 하든말든 자기한테 온 볼은 자기것으로 만드는 실력이 기본이라는 것이다.

유럽 선수들의 경기가 스피디하게 느껴지는 것은 바로 이런 기본기가 잘 되어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선수는 패스를 제대로 받지 못해 볼이 튕겨 나가고 결국 상대편에게 볼을 넘기기 일쑤다.

인생도 비슷하다. 개인기란 남을 웃기라고 있는 게 아니다. 자기 밥상에 놓인 밥을 일단은 자기 숫가락으로 입에 넣을 수 있어야 한다. 숫가락질 제대로 못하면 밥알을 흘리게 되고 그게 반복되면 결국 바닥에 떨어지는 밥알을 우연히 먹으며 배를 채울 수 밖에 없다.

캬..축구를 하도 봤더니 별 생각 다하는구만.
가을부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경기를 볼 수 있다.
ㅋㅋ 기대기대!!

Monday, July 03, 2006

이사

이번주에 또 이사간다. 새로 가는 집에서는 몇일 살지 못하고 떠나겠네...그래서 이짐 저짐 나누려면 일이 많을 것 같다.
낯선 동네로 가는 게 아니어서 좋다.
그러고보니...그 동네에서 4년이나 살았었다.

Saturday, July 01, 2006

Rooney...woe..

December 26, 2002 - The first red card of Rooney's professional career came at St Andrews. Having been brought on as a second-half substitute, the 17-year-old set off on a charge towards goal but lost control. With Birmingham defender Steve Vickers collecting possession, Rooney leapt in two-footed on the veteran centre-back and was instantly ordered off by David Elleray.

October 4, 2003 - An unsavoury episode in Rooney's career took place at White Hart Lane where he confronted referee Dermot Gallacher late in a game won 3-0 by Tottenham, and was booked for a petty show of dissent. It was his fifth booking of the season, which was less than two months old.

December 13, 2003 - Even Rooney thought he had gone too far on a trip to Portsmouth. Having scored the goal which proved the winner in a 2-1 victory, Rooney became embroiled in a clash with Pompey's Steve Stone whom he shoved to the floor. Believing a red card was coming his way, Rooney headed for the tunnel, but referee Uriah Rennie produced only a yellow and Everton team-mate Kevin Campbell had to call the youngster back.

November 17, 2004 - England took on Spain at the Bernabeu and Rooney had to be substituted for his own good. After two wild challenges on Iker Casillas and Carlos Marchena, and no little sniping at referee George Kasnaferis and several Spanish players, Sven-Goran Eriksson hauled him off after 42 minutes. He had been booked once and a red card looked imminent. Rooney trudged off, throwing to the turf his black armband, which the England squad had been wearing in a tribute to the late Emlyn Hughes.

December 26, 2004 - Manchester United were a goal up against Bolton at Old Trafford. Tal Ben Haim challenged Rooney but no foul was given. As he got up, he shoved the Israeli centre-half in the face and he responded by crashing to the ground. Rooney was later suspended by the Football Association for three games, including the Carling Cup semi-final first leg at Chelsea.

September 7, 2005 - With England frustrated by Northern Ireland in their World Cup qualifier at Windsor Park, Rooney let his temper get the better of him. He was booked for a rash challenge on Keith Gillespie and almost picked up a second yellow card straight away for another foul on Chris Baird. Attempts by David Beckham and Rio Ferdinand to calm him down only produced invective from the United striker.

September 14, 2005 - Rooney reacted to a harsh booking by sarcastically applauding Kim Milton Nielsen's decision right under the referee's nose. It left the man who famously sent David Beckham off during England's World Cup clash with Argentina in 1998 with little alternative other than to brandish a second yellow and dismiss Rooney from the field.

July 1, 2006 - Given a straight red card in the World Cup quarter-final against Portugal in Gelsenkirchen. Rooney was dismissed following after a foul on Ricardo Carvalho and a confrontation with United team-mate Cristiano Ronaldo.

두문불출

내일까지 넘겨야 할 원고가 있다. 몰골이 말이 아니다. 다른 책보다 더 잘하고 싶어서 신경이 많이 쓰인다.
집밖으로 안나간게 몇일째인지...아이들 노는 소리가 귀에 거슬린다. 넓은 놀이터 놔두고 왜 하필 집앞에서 노는지...윽...
간혹 들려오는 뻐꾸기 소리가 진정하라고 말해주는 것 같다.
근데 집에 있는 뻐꾸기 자명종 시계 소리하고 창밖에서 들려오는 뻐꾸기 소리가 거의 같다. 뒷산에 운동 나갈때마다 뻐꾸기가 어떻게 생겼는지 숲속 나무들을 유심히 살펴보지만...까치만 보이고...눈에 안띈다. 대체 어디 숨어있는건지 원...

Friday, June 30, 2006

Rhizome Writing Tree


Marisa Olson:

Hello.

I'm writing because we're currently preparing a "Writing Tree," which will be part of our 10th Anniversary season. Below is an initial description of the project and a call for your input.

Each branch of this tree will cover an issue related to the history, theory, and practice of new media art. We settled upon this model, in part, because we wanted to avoid any singular definitions of the field and its practices, but instead to reveal the diversity of ideas embodied by the community. We are presently inviting members of the greater new media community to write thematic essays that will become a "seed" for a "writing tree" --an idea I must admit to having borrowed largely from MTAA's "To Be Listened To" project. After the initial seeds are planted, anyone can post their own essays or comments, in response to the same prompt. We truly hope it will become an active, broad, and non-hierarchical platform for meaningful discussion.

If you have ideas for seed topics, or if you would like to initiate one yourself, please let me know. The seeds would need to be 600-800 word essays, and they would be due in two weeks, on July 15. We are trying to keep things contained to about 8-12 broader threads, which will eventually branch off in whatever direction the readers decide to take. If you don't think you have time to contribute a seed but would like to be involved, please start prepping your thoughts now and consider posting your own essay after the initial seeds are planted. The conversation will be ongoing.

Elements of this project will undoubtedly touch on Rhizome's history, while much of it will consider technology in its broader cultural contexts. Rhizome's staff feels that these are very important conversations to be having at this time, and we value your contributions to the discussion.

All the best,
Marisa

+ + +
Marisa Olson
Editor & Curator,
Rhizome.org at the
New Museum of Contemporary Art


Originally by Marisa Olson from Rhizome.org Raw at June 28, 2006, 11:26, published by Marisa S. Olson

Wednesday, June 28, 2006

Saturday, June 24, 2006

오늘...축구는..


죽었다. -대한민국과 스위스의 월드컵 경기 후. MBC-

Monday, June 19, 2006

France 1: South Korea 1

For much of the second half France were little better and were punished for their lethargy.

Seol Ki Hyeon’s cross from the right byline in the 81st minute was headed back across goal by Cho Jae Jin, with Park Ji Sung proving a close-range finish.

“If we play our best we can go anywhere, like in 2002,” he said.

If such optimism was far-fetched than France’s glory days are also a distant memory.

Saturday, June 17, 2006

Affective Labor

Michael Hardt

Affective Labor

Focus on the production of affects in our labor and our social practices has often served as a useful ground for anticapitalist projects, in the context of discourses for instance on desire or on use-value. Affective labor is itself and directly the constitution of communities and collective subjectivities. The productive circuit of affect and value has thus seemed in many respects as an autonomous circuit for the constitutions of subjectivity, alternative to the processes of capitalist valorization. Theoretical frameworks that have brought together Marx and Freud have conceived of affective labor using terms such as desiring production and more significantly numerous feminist investigations analyzing the potentials within what has been designated traditionally as women's work have grasped affective labor with terms such as kin work and caring labor. Each of these analyses reveal the processes whereby our laboring practices produce collective subjectivities, produce sociality, and ultimately produce society itself.

Such a consideration of affective labor today, however, and this is the primary point of this essay, ought to be situated in the context of the changing role of affective labor in the capitalist economy. In other words, although affective labor has never been entirely outside of capitalist production, the processes of economic postmodernization that have been in course for the past 25 years have positioned affective labor in a role that is not only directly productive of capital but at the very pinnacle of the hierarchy of laboring forms. Affective labor is one face of what I will call "immaterial labor", which has assumed a dominan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other forms of labor in the global capitalist economy. Saying that capital has incorporated and exalted affective labor and that affective labor is one of the highest value-producing forms of labor from the point of view of capital does not mean that, thus contaminated, it is no longer of use to anticapitalist projects. On the contrary, given the role of affective labor as one of the strongest links in the chain of capitalist postmodernization, its potential for subversion and autonomous constitution is all the greater. Within this context we can recognize the biopolitical potential of labor, using biopower here in a sense that both adopts and inverts Foucault's usage of the term. I want to proceed, then, in three steps: first situating immaterial labor within the contemporary phase of capitalist postmodernization; second, situating affective labor with respect to the other forms of immaterial labor; and finally, exploring the potential of affective labor in terms of biopower.


Postmodernization

It has now become common to view the succession of economic paradigms in the dominant capitalist countries since the Middle Ages in three distinct moments, each defined by a privileged sector of the economy: a first paradigm in which agriculture and the extraction of raw materials dominated the economy, a second in which industry and the manufacture of durable goods occupied the privileged position, and the current paradigm in which providing services and manipulating information are at the heart of economic production. The dominant position has thus passed from primary to secondary to tertiary production. Economic modernization named the passage from the first paradigm to the second, from the dominance of agriculture to that of industry. Modernization meant industrialization. We might call the passage from the second paradigm to the third, from the domination of industry to that of services and information, a process of economic postmodernization, or rather, informatization.

The processes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ransformed and redefined all the elements of the social plane. When agriculture was modernized as industry the farm progressively became a factory, with all of the factory's discipline, technology, wage-relations, and so forth. More generally, society itself was gradually industrialized even to the point of transforming human relations and human nature. Society became a factory. In the early 20th century Robert Musil reflected beautifully on the transformation of humanity in the passage from the agricultural world to the social factory. "There was a time when people grew naturally into the conditions they found waiting for them and that was a very sound way of becoming oneself. But nowadays, with all this shaking up of things, when everything is becoming detached from the soil it grew in, even where the production of soul is concerned one really ought, as it were, to replace the traditional handicrafts by the sort of intelligence that goes with the machine and the factory."[1] Humanity and its soul are produced in the very processes of economic production. The processes of becoming human and the nature of the human itself were fundamentally transformed in the qualitative shift of modernization.

In our times, however, modernization has come to an end, or as Robert Kurz says modernization has collapsed. In other words, industrial production is no longer expanding its dominance over other economic forms and social phenomena. A symptom of this shift is manifest in terms of quantitative changes in employment. Whereas the processes of modernization were indicated by a migration of labor from agriculture and mining (the primary sector) to industry (the secondary), the processes of postmodernization or informatization are recognized through the migration from industry to service jobs (the tertiary), a shift that has taken place in the dominant capitalist countries, and particularly in the U.S., since the early 1970s.[2] The terms "services" here covers a large range of activities from health care, education, and finance to transportation, entertainment, and advertising. The jobs for the most part are highly mobile and involve flexible skills. More important, they are characterized in general by the central role played by knowledg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ffect. In this sense we can call the postindustrial economy an informational economy.

The claim that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s over and that the global economy is today undergoing a process of postmodernization toward an informational economy does not mean that industrial production will be done away with or that it will cease to play an important role, even in the most dominant regions of the globe. Just as the industrial revolution transformed agriculture and made it more productive, so too the informational revolution will transform industry redefining and rejuvenating manufacturing processes—through the integration, for example, of information networks within industrial processes. The new managerial imperative operative here is "treat manufacturing as a service."[3] In effect, as industries are transformed, the division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s is becoming blurred. Just as through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ll production became industrialized, so too through the process of postmodernization all production tends toward the production of services, toward becoming informationalized.

The fact that informatization and the shift toward services is most recognizable in the dominant capitalist countries should not lead us back to an understanding of the contemporary global economic situation in terms of stages of development—as if today the dominant countries were informational service economies, their first subordinates industrial economies, and those further subordinated agricultural. For the subordinated countries the collapse of modernization means first of all that industrialization can no longer be seen as the key to economic advancement and competition. Some of the most subordinated regions, such as areas of Sub-Saharan Africa, have been effectively excluded from capital flows and new technologies, from even the illusion of development strategies, and they thus find themselves on the verge of starvation (but we should recognize how postmodernization has imposed this exclusion and nonetheless dominates these regions). Competition for the middle-level positions in the global hierarchy is conducted in large part not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but the informatization of production. Large countries with varied economies, such as India, Brazil, and Russia, can support simultaneously all varieties of productive processes: information-based production of services, modern industrial production of goods, and traditional handicraft, agricultural, and mining production. There does not need to be an orderly historical progression among these forms, but rather they mix and coexist; it is not necessary to pass through modernization before informatization—traditional handicraft production can be immediately computerized; cellular phones can be put to use immediately in isolated fishing villages. All of the forms of production exist within the networks of the world market and under the domination of the informational production of services.


Inmaterial Labor

The passage toward an informational economy involves necessarily a change in the quality of labor and the nature of laboring processes. This is the most immediate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implication of the passage of economic paradigms. Information, communication, knowledge, and affect come to play a foundational role in the production process.

A first aspect of this transformation is recognized by many in terms of the change in factory labor—using the auto industry as a central point of reference—from the Fordist model to the Toyotist model.[4] The primary structural change between these models involves the syste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ommodities, that is, the passage of information between the factory and the market. The Fordist model constructed a relatively "mut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 mass production of standardized commodities in the Fordist era could count on an adequate demand and thus had little need to “listen” closely to the market. A feedback circuit from consumption to production did allow changes in the market to spur changes in production but this communication was restricted (due to fixed and compartmentalized channels of planning) and slow (due to the rigidity of the technologies and procedures of mass production).

Toyotism is based on an inversion of the Fordist structure of communication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Ideally, according to this model, the production planning will communicate with markets constantly and immediately. Factories will maintain zero stock and commodities will be produced just i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demand of the existing markets. This model thus involves not simply a more rapid feedback loop but an inversion of the relationship because, at least in theory, the productive decision actually comes after and in reaction to the market decision. This industrial context provides a first sense in which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have come to play a newly central role in production. One might say that instrumental action and communicative action have become intimately interwoven in informationalized industrial processes. (It would be interesting and useful to consider here how these processes disrupt Habermas's division between instrumental and communicative action, just as in another sense they do Arendt's distinctions among labor, work, and action.[5]) One should quickly add, however, that this is an impoverished notion of communication, the mere transmission of market data.

The service sectors of the economy present a richer model of productive communication. Most services indeed are based on the continual exchang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s. Since the production of services results in no material and durable good, we might define the labor involved in this production as immaterial labor—that is, labor that produces an immaterial good, such as a service, knowledge, or communication [6]. One face of immaterial labor can be recognized in analogy to the functioning of a computer. The increasingly extensive use of computers has tended progressively to redefine laboring practices and relations (along with indeed all social practices and relations). Familiarity and facility with computer technology is becoming an increasingly general primary qualification for work in the dominant countries. Even when direct contact with computers is not involved the manipulation of symbols and information along the model of computer operation is extremely widespread. One novel aspect of the computer is that it can continually modify its own operation through its use. Even the most rudimentary form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low the computer to expand and perfect its operation based on interaction with its user and its environment. The same kind of continual interactivity characterizes a wide range of contemporary productive activities throughout the economy, whether computer hardware is directly involved or not. In an earlier era workers learned how to act like machin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factory. Today, as general social knowledge becomes ever more a direct force of production, we increasingly think like computers and the interactive model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becomes more and more central to our laboring activities.[7] Interactive and cybernetic machines become a new prosthesis integrated into our bodies and minds and a lens through which to redefine our bodies and minds themselves.[8]

Robert Reich calls this type of immaterial labor "symbolic-analytical services"—tasks that involve "problem-solving, problem-identifying, and strategic brokering activities."[9] This type of labor claims the highest value and thus Reich identifies it as the key to competition in the new global economy. He recognizes, however, that the growth of these knowledge-based jobs of creative symbolic manipulation implies a corresponding growth of low value and low skill jobs of routine symbol manipulation, such as data entry and word processing. Here begins to emerge a fundamental division of labor within the realm of immaterial processes.

The model of the computer, however, can only account for one face of the communicational and immaterial labor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services. The other face of immaterial labor is the affective labor of human contact and interaction. This is the aspect of immaterial labor that economists like Reich are less likely to talk about, but that seems to me the more important aspect, the binding element. Health services, for example, rely centrally on caring and affective labor, and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the various culture industries are likewise focussed on the creation and manipulation of affects. To one degree or another this affective labor plays a certain role throughout the service industries, from fast food servers to providers of financial services, embedded in the moments of human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This labor is immaterial, even if it is corporeal and affective, in the sense that its products are intangible: a feeling of ease, well-being, satisfaction, excitement, passion—even a sense of connectedness or community. Categories such as in-person services or services of proximity are often used to identify this kind of labor, but what is essential to it, its "in-person" aspect, is really the creation and manipulation of affects. Such affective produc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is generally associated with human contact, with the actual presence of another, but that contact can be either actual or virtual. In production of affect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for example, the human contact, the presence of others, is principally virtual, but not for that reason any less real.

This second face of immaterial labor, its affective face, extends beyond the model of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defined by the computer. Affective labor is better understood by beginning from what feminist analyses of “women’s work” have called “labor in the bodily mode.”[10] Caring labor is certainly entirely immersed in the corporeal, the somatic, but the affects it produces are nonetheless immaterial. What affective labor produces are social networks, forms of community, biopower.

Here one might recognize once again that the instrumental action of economic production has merged with the communicative action of human relations. In this case, however, communication has not been impoverished but rather production has been enriched to the level of complexity of human interaction. Whereas in a first moment, in the computerization of industry for example, one might say that communicative action, human relations, and culture have been instrumentalized, reified, and "degraded" to the level of economic interactions, one should add quickly that through a reciprocal process, in this second moment, production has become communicative, affective, de-instrumentalized, and "elevated" to the level of human relations—but of course a level of human relations entirely dominated by and internal to capital. (Here the division between economy and culture begins to break down.) I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affects, in those networks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collective subjectivities are produced and sociality is produced—even if those subjectivities and that sociality are directly exploitable by capital. This is where we can realize the enormous potential in affective labor.

I do not mean to argue that affective labor itself is new or that the fact that affective labor produces value in some sense is new. Feminist analyses in particular have long recognized the social value of caring labor, kin work, nurturing, and maternal activities. What are new, on the other hand, are the extent to which this affective immaterial labor is now directly productive of capital and the extent to which it has become generalized through wide sectors of the economy. In effect, as a component of immaterial labor, affective labor has achieved a dominant position of the highest value in the contemporary informational economy. Where the production of soul is concerned, as Musil might say, we should no longer look to the soil and organic development, nor to the factory and mechanical development, but rather to today's dominant economic forms, that is, to production defined by a combination of cybernetics and affect.

This immaterial labor is not isolated to a certain population of workers, say computer programmers and nurses, who would form a new potential labor aristocracy. Rather immaterial labor in its various guises (informational, affective, communicative, and cultural) tends toward being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workforce and throughout all laboring tasks as a component, larger or smaller, of all laboring processes. That said, however, there are certainly numerous divisions within the realm of immaterial labor—international divisions of immaterial labor, gender divisions, racial divisions, and so forth. As Robert Reich says, the U.S. government will strive as much as possible to keep the highest value immaterial labor in the United States and export the low value tasks to other regions. It is a very important task to clarify these divisions of immaterial labor, which I should point out are not the divisions of labor we are used to, particularly with regard to affective labor.

In short, we can distinguish three types of immaterial labor that drive the service sector at the top of the informational economy. The first is involved in an industrial production that has been informationalized and has incorporat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a way that transforms the industrial production process itself. Manufacturing is regarded as a service and the material labor of the production of durable goods mixes with and tends toward immaterial labor. Second is the immaterial labor of analytical and symbolic tasks, which itself breaks down into creative and intelligent manipulation on one hand and routine symbolic tasks on the other. Finally, a third type of immaterial labor involves the production and manipulation of affects and requires (virtual or actual) human contact and proximity. These are the three types of labor that drive the postmodernization or informationalization of the global economy.


Biopower

By biopower I understand the potential of affective labor. Biopower is the power of the creation of life; it is the production of collective subjectivities, sociality, and society itself. The focus on affects and the networks of the production of affects reveals these processes of social constitution. What is created in the networks of affective labor is a form-of-life.

When Foucault discusses biopower he sees it only from above. It is patria potestas, the right of the father over the life and death of his children and servants. More important, biopower is the power of the emerging forces of governmentality to create, manage, and control populations—the power to manage life.[11] Other more recent studies have extended Foucault's notion, casting biopower as the rule of the sovereign over "naked life," life distinct from its various social forms.[12] In each case, what is at stake in power is life itself. This political passage towards the contemporary phase of biopower corresponds to the economic passage of capitalist postmodernization in which immaterial labor has been cast in the dominant position. Here too in the creation of value and the production of capital what is central is the production of life, that is, the creation, management, and control of populations. This Foucauldian view of biopower, however, only poses the situation from above, as the prerogative of a sovereign power. When we look at the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bor involved in biopolitical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we can begin to recognize biopower from below.

The first fact we see when we adopt this perspective is that the labor of biopolitical production is strongly configured as gendered labor. Indeed various streams of feminist theory have already provided extensive analyses of the production of biopower from below. A current of ecofeminism, for example, employs the term biopolitics (in a way that might seem at first sight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Foucault) to refer to the politics of the various forms of biotechnology that are imposed by transnational corporations on populations and environments, primarily in subordinated regions of the world.[13] The Green Revolution and other technological programs that have been cast as means of capitalist economic development actually have brought with them both devastation fo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new mechanisms for the subordination of women. These two effects, however, are really one. It is primarily the traditional role of women, these authors point out, to fulfill the tasks of reproduction that have been most severely affected by the ecological and biological interventions. From this perspective, then, women and nature are dominated together but they also work together 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against the assault of biopolitical technologies, to produce and reproduce life. Staying alive: politics has become a matter of life itself and the struggle has taken the form of a biopower from above against a biopower from below.

In a very different context numerous feminist authors in the United States have analyzed the primary role of women's labor i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life. In particular, the caring labor involved in maternal work (distinguishing maternal work from the biologically specific aspects of birthing labor) has proven to be an extremely rich terrain for the analysis of biopolitical production.[14] Biopolitical production here consists primarily in the labor involved in the creation of life—not the activities of procreation, but the creation of life precisely i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affects. Here we can recognize clearly how the distinction between production and reproduction breaks down, as does that between economy and culture. Labor works directly on the affects; it produces subjectivity, it produces society, it produces life. Affective labor, in this sense, is ontological—it reveals living labor constituting a form of life and thus demonstrates again the potential of biopolitical production.[15]

We should add immediately, however, that we cannot simply affirm either of these perspectives in an unqualified way, without recognizing the enormous dangers they pose. In the first case, the identification of women and nature risks naturalizing and absolutizing sexual difference, in addition to posing a spontaneous definition of nature itself. In the second case, the celebration of maternal work could easily serve to re-enforce both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and the familial structures of oedipal subjection and subjectification. Even in these feminist analyses of maternal labor it is clear how difficult it can be at times to dislodge the potential of affective labor from both the patriarchal constructions of reproduction and the subjective black hole of the family. These dangers, however, important though they might be, do not negate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e potential of labor as biopower, a biopower from below.

This biopolitical context is precisely the ground for an investigation of the productiv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value. What we find here is not so much the resistance of what might be called "affectively necessary labor,"[16] but rather the potential of necessary affective labor. On one hand affective labor,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life, has become firmly embedded as a necessary foundation for capitalist accumulation and patriarchal order.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production of affects, subjectivities, and forms of life present an enormous potential for autonomous circuits of valorization, and perhaps for liberation.




Notes:




[1] Robert Musil, The Man Without Qualities, vol. 2, trans. Sophie Wilkins (New York: Vintage, 1996) 367
[2] On the employment shifts in the dominant countries, see Manuel Castells and Yuko Aoyama, “Paths towards the informational society: Employment structure in G-7 countries, 1920-90,” International Labour Review 133:1 (1994): 5-33.
[3] François Bar,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the Transformation of Manufacturing,” in The New Information Infrastructure: Strategies for U.S. Policy, ed. William Drake (New York: Twentieth Century Fund Press, 1995), 56.
[4]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Fordist and Toyotist models, see Benjamin Coriat, Penser à l’envers: travail et organisation dans l’entreprise japonaise (Paris: Christian Bourgois, 1994).
[5] I am thinking primarily of Jürgen Habermas,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rans. Thomas McCarthy (Boston: Beacon Press, 1984); and Hannah Arendt, The Human Condi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8). For an excellent critique of Habermas’s division between communicative and instrumental action in the context of economic postmodernization, see Christian Marazzi, Il posto dei calzini: la svolta linguistica dell’economia e i suoi effetti nella politica (Bellinzona, Switzerland: Casagrande, 1995), 29-34.
[6] For a definition and analysis of immaterial labor, see Maurizio Lazzarato, “Immaterial Labor,” in Radical Thought in Italy, ed. Paolo Virno and Michael Hardt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6), 133-47.
[7] Peter Drucker understands the passage toward immaterial production as the complete destruction of the traditional categories of political economy. “The basic economic resource—‘the means of production,’ to use the economist’s term—is no longer capital, nor natural resources (the economist’s ‘land’), nor ‘labor.’ It is and will be knowledge.” Peter Drucker, Post-Capitalist Society, (New York: Harper, 1993), 8. What Drucker does not understand is that knowledge is not given but produced and that its production involves new kinds of means of production and labor.
[8] Marx uses the term "general intellect" to refer to this paradigm of productive social activity. “The development of fixed capital indicates to what degree social knowledge has become a direct force of production, and to what degree, hence, the conditions of the process of social life itself have come under the control of the general intellect and been transformed in accordance with it. To what degree the powers of social production have been produced, not only in the form of knowledge, but also as immediate organs of social practice, of the real life process.” Karl Marx, Grundrisse, trans. Martin Nicolaus (New York: Vintage, 1973), 706.
[9] Robert Reich, The Work of Nations: Preparing Ourselves for 21st-Century Capitalism (New York: Knopf, 1991), 177.
[10] See Dorothy Smith, The Everyday World as Problematic: A Feminist Sociology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1987), 78-88.
[11] See primarily Michel Foucault, The History of Sexuality, vol. 1, trans. Robert Hurley (New York: Vintage, 1978), 135-45.
[12] See Giorgio Agamben, Homo Sacer, (Turin: Einaudi, 1995); and "Form-of-Life," trans. Cesare Casarino, in Radical Thought in Italy, ed. Paolo Virno and Michael Hardt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6), 151-56.
[13] See Vandana Shiva and Ingunn Moser, ed., Biopolitics: A Feminist and Ecological Reader (London: Zed Books, 1995); and more generally Vandana Shiva, Staying Alive: Women, Ecology and Survival in India (London: Zed Books, 1988).
[14] See Sara Ruddick, Maternal Thinking: Towards a Politics of Peace (New York: Ballantine Books, 1989).
[15] On the ontologically constitutive capacities of labor, specifically in the context of feminist theory, see Kathi Weeks, Constituting Feminist Subject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120-51.
[16] See Gayatri Chakravorty Spivak, "Scattered Speculations on the Question of Value," in In Other Worlds (New York: Routledge, 1988) 154-75.

Wednesday, June 14, 2006

vs TOGO

불안해서 혼났다. 스위스 언론의 평가대로 겨우 이긴 경기였다.
박지성 선수는 역시 우리 팀에서 없어선 안 될 존재였다.
하지만 그의 패스의 의도와 스피드를 뒷받침 해줄 파트너가 없는 게 안타까울 뿐이다. 루니 같은...

첫번째 골을 넣은 이천수는 개인적으로 무척 평가절하하는 선수이다. 이 경기에서도 역시..측면 돌파는 커녕...백패스로 일관하며 중앙에 가만히 서서 볼 오기만 기다리는 전형적인 욕심많고 게으른 윙포워드였다. 빠르게 보이긴 하지만 윙포워드가 측면돌파를 하지 못하고 센터링 한번 못올리면 말다한 거 아닌가. 하지만 프리킥을 골로 연결시켜 그나마 다행이다. 그렇지만 그는 버블이다. 과대평가되고 있다.

안정환 선수는...유난히 컨디션이 좋아 보였다. 거기에 부지런하기까지...그의 골은 무척 스마트했다. 박지성 선수의 패스 페인트를 금새 눈치채고..그의 센스가 돋보인 경기였다.

수비는 정말 불안했다. 상대가 이만해서 그나마 한점 먹은 게 아닌가 싶다. 해결방안은 뭐가 있을까? 뭐 굳이 몰라도 되는 거지만...진짜 전문가들의 생각이 궁금하다.

그러나 축구는 그 어느 경기보다 공격적인 스포츠이다.
수비는 항상 불안할 수밖에 없다.
그게 축구라는 운동의 숙명이다.
바로 그것 때문에 전 세계의 팬들이 열광한다.
마치 다른 나라로 정복 길을 떠난 조국의 전사들의 승전보를 기다리듯...혹은 피비린내 나는 전투의 현장을 눈 앞에서 보듯...그렇게 열광한다.

Tuesday, June 13, 2006

지금 서울





월드컵으로 한몫 잡아보려는지...여기저기 난리가 났다.

오늘은 드디어 Togo와의 월드컵 첫 게임이 있는 날이다.

원정 떠난 조국의 전사들의 승전보를 기다리고 있는 그 옛날 고구려 백성들의 맘이 이렇지 않았나싶을 정도로...대부분의 시민들은 약간의 설레임으로 밤10시를 기다리고 있는 것 같다.

축구가 도대체 무슨 매력이 있는걸까??
우리 국민들은 축구를 좋아하는건지, 아니면 축구때문에 만들어지는 흥분을 즐기는건지,
정말 애국심이 철철 넘치는건지...도통 모르겠지만
서울 한복판의 건물과 거리의 조형물을 보면 우리가 또 개최국인가싶을정도다.
암튼. 이기면 기분은 좋을테니...ㅋㅋ
대~한민국! 짝짝짝 짝짝!!!

Sunday, June 04, 2006

마지막 평가전


마지막으로 평가를 한다니 긴장도 됬을테고. 더군다나 1승 재물로 생각한 토고전의 가상전의 성격이었으니 몸이 다소 굳었을 것으로 여기지만.
그래도 상대팀과 실력차가 너무 나서 재미가 없는 게임이었다.
화면으로 보니 에든버러의 하늘은 청명했고. 햇살도 따스해보였다.
다행이다 싶었지만 날씨가지고 변명할 꺼리가 아예 없게 만든 건 가나 팀의 개인기였고 조직력이었다.

오늘 경기때문에
아무래도 16강 진출이 어렵지 않나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을것 같다.
못하면 어때. 아니다. 괜히 이런 소리 했다간...요즘 우리나라는 완죤 미쳤다. 월드컵 광란 직전이다.
서울시내 대형빌딩은 월드컵 걸개로 도배가 되다시피됬고.
아이들은 붉은 색 옷입고 거리응원에 목숨 건다.
텔레비전도 마찬가지. 누구는 컴퓨터 바탕화면에 월드컵 대진표를 깔았다고하더라.
암튼. 슬슬 짜증나려고 한다. 이렇게 미쳐가는 모습을 보자니...
하긴 나도 오늘 경기를 보면서 베스트11을 짜보며 몰입했다. ㅋ 뭘 안다고~

설기현 조재진 박주영
박지성 김남일 이을용 김두현
김동진 최진철 이영표
김영광

이건 순전히 비전문가인 나의 개인적 취향이다. 물론 상대편 전력과는 아무 상관없다.

Saturday, June 03, 2006

월드컵


월드컵 축구보다가 6월은 금방 가버릴 것 같다.

Monday, May 29, 2006

CTheory Live Interview

CTheory Live Interviews:
Short-Circuiting the Global: Indigenous Resistances
Taiaiake Alfred in Conversation with Arthur and Marilouise Kroker
=======================================================

Dear CTheory Readers,

We are very pleased to invite you to the third installation of
CTheory Live Interviews, a continuing series of conversations with
leading theorists and artists from around the world. This interview
features Taiaiake Alfred, Indigenous Peoples Research Chair and
Chair of Indigenous Governance, University of Victoria, Canada. Dr.
Alfred is author of three critically acclaimed books in Indigenous
politics: _Wasase: Indigenous Pathways of Action and Freedom_;
_Peace, Power, Righteousness: An Indigenous Manifesto_; and,
_Heeding the Voices of our Ancestors: Kahnawake Mohawk Politics and
the Rise of Native Nationalism_.

The conversation with Dr. Alfred can be found at:

http://www.pactac.net/pactacweb/web-content/video44.html

kind regards,

Arthur and Marilouise Kroker
Editors, CTheory

Friday, May 26, 2006

바닥

토대가 약하면 언젠가 무너진다는 것을, 바닥이 보인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Monday, May 22, 2006

옷벗는방식과 성격

* 집으로 들어오자마자 옷이나 양말 신발 장신구를 되는대로 벗거나 한 꺼풀씩 풀어헤치는 사람

집으로 돌아온 흔적을 집안에 알리는 유형은 지극히 편안한 낙천주의자.

외향적인 성격의 소유자로 매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편이고

다른 사람의 고민마저도 모두 잘 될 것이라는 충고를 서슴지 않는

자칫 오해를 하면 무심한 친구로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한번 심각한 일에 빠지게 되면 모든 것을 포기할 정도로 무섭게 무너져 버리고 말기 때문에

그렇게 되면 슬럼프 기간이 상당히 긴 편이라 한다.



* 신발을 벗는 것에서부터 집안에 들어와서도

한치의 흐트러짐 없이 모든 걸 제자리에 단정하게 벗어놓고 정리하는 사람

지극히 예민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주변사람들에 대해서도 여러 번 생각하고

고심한 끝에 상대를 위해 행동하는 철저한 희생을 보이는 연인으로서의 기본이 갖추어져 있다.

그러나 조금만 정도를 넘어서도 모든 것에 있어

철저함을 원하는 신경질적인 완전주의자로 돌변할 여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대보다는 자신의 행동 때문에 신경 쓰고 과민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 집안에 들어서자마자 무조건 발에 걸치고 있는 것부터 내던지는 사람

대개 수줍음을 타는 내성적인 성격의 소극주의자.

은근히 남에게 의지하고 싶어하는 심리가 늘 마음의 한 가운데 자리잡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행동보다는 생각에서 끝내버리는 속전속결형.

다른 사람의 도움이 간섭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의존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면

가차없이 상대를 몰아세우는 의외의 면도 보인다.



* 윗도리를 하나 벗는데 최소한 몇 분.

다시 아랫도리 하나에 또 다시 몇 분.

흡사 슬로모션을 보는 것처럼 천천히 옷을 벗으며 무슨 생각에 빠진 것처럼

끝까지 서두르지 않으며 그렇다고 성격은 전혀 느긋하지 않은 사람

다시 아랫도리 하나에 또 다시 몇 분.

흡사 슬로모션을 보는 것처럼 천천히 옷을 벗으며 무슨 생각에 빠진 것처럼

끝까지 서두르지 않으며 그렇다고 성격은 전혀 느긋하지 않은 사람.

이런 유형은 대부분 자신의 지적능력을 과대 평가하며

자신이 하는 일에 있어 자신만이 할 수 있다는 식의 상당한 자부심도 가지고 있다.

추진력은 있지만 처음에는 상당히 천천히 출발하는 즉, 발동이 늦게 걸리는 타입.

행동이 생각보다 한 템포 늦게 출발하기 때문에 당신 자신도 가끔은 답답해하는 묘한 성격의 소유자.


* 집으로 들어오자마자 단시간에 옷을 벗어버리는 사람.

이런 유형의 당신은 간단한 것을 선호하는 편.

격식이 없는 것을 좋아하고 웬만하면 복잡한 생각이나 관계에 끼고 싶지 않아 하지만

자신이 관계된 일이라면 한번 파고들어 그 끝장을 보고야 만다.

이런 당신은 `나를 위해 무엇을 할까?` 보다는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무얼 기대하는지에 대해 더 신경을 쓰기 때문에

자신의 생각과는 조금 다른 방향으로 일이 진행되더라도 충분히 감수하는 상당히 외향적인 스타일로

다른 사람들의 앞에 나서기보다는 뒤에서 팔짱을 끼고 관전하기를 좋아하는 편이다.



* 옷보다는 액세서리를 가장 먼저 벗는 사람

당신은 마음이 따뜻하고 사려 깊으며

다른 사람에게 나쁜 마음을 품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에게 미안한 느낌을 가지고

뜬금 없이 그 사람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꺼낼 정도로 순수한 면을 가지고 있다.

늘 많은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고 혼자서 있는 것을 끔찍히도 싫어한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늘 자신의 공상 속에서 다시 생각하고 가정하는 등의 예민한 면을 가진 한편으론

감성이 풍부하고 애수에 젖어있는 낭만형이기도 하다.


* 자신이 어떤 방법으로 옷을 입고 벗는지 기억할 수 없고, 그것을 알아보려 하다가 늘 잊어버리는 사람

그렇게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옷을 벗는지 기억도 못하지만

늘 다른 방법으로 옷을 입는 까닭도 있다.

마치 규칙을 세운 사람처럼 두 번 다시 같은 방법으로 옷을 벗지 않는 당신.
상당히 소수이긴 하지만 이런 유형의 당신은 생활의 대부분이 호기심으로 똘똘 뭉쳐있고

절대 궁금한 것을 그냥 참아 넘기지 못한다.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대해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며

자신의 왕성한 궁금증을 해결해 주는 쪽으로 치우쳐 박식한 사람을 선호하는 경향이 짙지만

우쭐대는 방식은 절대 참지 못하는 돈키호테적인 엉뚱함으로 사람들을 놀라게 만들기도 한다.

한가지에 안주하는 것을 지루하고 따분한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늘 다양한 활동을 찾아 분주히 움직이며 재미있게 산다.

==========
이런 생각은 누가 한 것일까? ㅋㅋ

정치테러

극우보수당의 대표가 선거유세중 다쳤다. 누군가 달려들어 얼굴에 칼을 댓다. 다친 사람한텐 미안하지만...진작 정치좀 잘하지...그만한게 오히려 다행아닌가 싶다.

Thursday, May 18, 2006

이번 달부터 예전에 일했던 곳에서 다시 일하기 시작했다. 일주일에 3일 정도 출근. 직함은 creative advisor. 덕분에 술도 자주 먹고, 자주 웃고 있다. 그곳은 항상 좀더 잘 되었으면 하는 공간이다. 떠나기 전까지 봉사한다는 생각으로 일하려한다. 그래서 내가 그곳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그걸로 만족한다.

Saturday, May 13, 2006

소니와 애플

소니가 오래 동안 유지해온 고유 음악파일 포맷(Atrac) 고수 전략을 버리고 아이팟 파일 형식을 지원키로 했다는 소식이 있다.

C넷은 소니가 애플 아이팟과의 호환성 확보를 위해 자사의 음악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애플컴퓨터의 오디오파일 포맷인 ‘AAC’ 방식을 비롯, 타사의 파일 포맷들을 지원키로 했다고 1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그러면 소니의 새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면 사용자들은 아이팟에서 듣던 음악을 소니의 워크맨으로 옮겨 담아 들을 수 있게 된 것인가? 아님 그냥 파일 포맷만 호환한 것인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소니는 이제까지 타사의 파일 포맷을 받아들이지 않고 자체 포맷인 ‘Atrac’ 시스템만을 고집해 왔다.

‘워크맨’으로 한때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시장을 장악했던 소니지만 호환성 없는 기기를 내세운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 시장에서는 힘을 쓰지 못했다.

이 자리에 아이팟이 입성, 엄청난 시장을 애플에 내주고 말았다.

이번에 애플의 AAC 포맷을 지원한다고 밝힘으로써 소니는 디지털 음악 시장에서 애플의 지배력을 인정한 셈이 됐다.

Tuesday, May 09, 2006

A day in the Life

1960년대에 텔레비전과 비디오로 창작을 하던 예술가들은 스스로의 정신을 혁신했다.
일찌기 백남준은 '래디컬 소프트웨어'의 창간호에서, '1920년대 러시아 혁명이 electrification을 의미하듯...1960년대 혁명은 정신에서 정신, 행성에서 행성으로의 electrification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브로드캐스트 테크놀로지가 사회적 변혁에 영향을 미치는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하는 유토피아적 믿음은 지금도 어디에선가 반복되고 있다.

한미동맹

평생을 농사지으며 살았던 땅에 외국의 군대가 들어온다면 어찌 목숨을 걸고 저항하지 않겠는가. 돈을 얼마를 가지고 있든, 맘이 고달프고 힘들면 모두 서민일 것이라는 자들이...

하지만 반미주사파 강경세력이 주도하고 있는 이번 시위는 어찌보면 무모한 떼쓰기이다. 많은 국민들은 시위대와 생각이 다르다. 외국의 시선도 그렇다. 무척 외로운 싸움을 하는 거다. 물론 과거 반미주사파들이 일단 저질러 놓고 보자는 데에는 선수이긴 했지만서도...

이번 기지이전건은 지금 정권이 오래 전부터 미국과 교섭해왔던 사안이고. 그 놈의 한미동맹 어쩌고저쩌고 하는 것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외교화시켜 찍소리 안나게 철저하게 국가대 국가 계약으로 진행하고 있는 일이기에 자칫 소모전으로 끝나거나 운동세력들의 무용담 만들기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단순히 단순히 미군기지이전 문제로 싸울 게 아니라는 거다.
싸움의 초점은 우리에겐 아무 국익없는 그 기나긴 세월 탄탄하게 유지해오고 있는 무식한 '한미동맹' 자체가 되어야한다.

결국 누구든 밟으면 꿈틀거린다는 '민주화 시위' 보다는 민중의 권리에 반하는 외교정책을 펼 수 밖에 없는 3%의 기득권 계급에 대한 싸움이어야하는 것 아닌가 싶다.

Tuesday, April 18, 2006

Friday, April 14, 2006

출산

친구가 아이를 낳다는 소식을 들었다. 기쁘다. 나이가 적지 않아 주변에서 노산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산모도 아이도 모두 건강하다니 다행이다. 나는 축하인사를 건네고 한마디 더 했다. "너도 이제 좋은 세월 다 갔구나"고...의미심장한 이 말을 그는 아직 모를 것이다. 생산의 기쁨에 묻혀서. 하지만 곧 깨닫게 된다. ㅎㅎㅎ 아..매도 먼저 맞아버린 자의 속좁은 여유란 게 이런 것일 게다. 새롭게 세상에 나온 그 아이의 건강한 미래를 기원한다.

Thursday, April 13, 2006

FTA와 IMF

(한겨레신문/2006.4.10.)
한-미 FTA를 '제2 IMF'라 하는 이유 / 우석균


1999년 볼리비아의 코차밤바에서는 시민들이 수도꼭지를 밧줄로 꽁꽁 묶어둬야 했다. 아이들이 장난으로라도 꼭지를 틀어놓으면 큰일이 날 정도로 물값이 폭등했기 때문이었다. 한 달 수도요금이 월급의 20%였다. 볼리비아 정부가 상수도를 딕 체니의 미 벡텔사에 팔아넘긴 결과였다. 상수도 민영화는 볼리비아만의 일이 아니다. 북미자유무역협정(나프타) 이후 캐나다에서는 시장이 시민들도 모르게 호수를 통째로 기업에 팔아넘겨 큰 문제가 되었고, 수도를 놓아두고 강에서 물을 긷던 어린아이가 악어에 잡아먹히는 일이 세계 도처에서 생긴다. 물을 팔아 먹어? 무슨 봉이 김선달 이야기인가 할 수 있으나 이 일이 지금 한국에서도 일어나려 한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서 미국이 요구하는 바가 바로 이 '상수도 민영화'이기 때문이다.
미국이 요구하는 것이 어찌 상수도 사유화뿐이겠는가. 미국은 한국전력이 공적규제를 받고 있다고 발전 부문의 기업매각을 요구하고 있다. 주한미국상공회의소는 한국가스공사의 분할매각을 빨리 진행하라고 요구한다. 미국 정부는 공공서비스를 공기업이 운영하는 것은 '공정한 경쟁의 방해이고 투자장벽'이라면서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직결된 물·전기·가스 등을 기업에 팔아넘길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것이 한-미 자유무역협정이다.

물이나 전기, 가스 등 공공서비스가 민간기업에 넘어가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정부가 말하는 대로 경쟁을 통한 요금 인하와 서비스 질의 향상이 돌아올까? 외환위기 이후 부분매각 조처로 엘지(LG)에 매각된 안양 열병합발전소에서는 한꺼번에 20%의 전기 요금 인상을 요구한 바 있다. 최대이윤 추구가 목적인 민간기업에 사실상의 독점부문인 공공서비스를 맡겨놓으면 공공요금의 폭등이 일어나는 것은 세계적으로 확인된 바다.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또한 교육과 의료의 '무역장벽' 제거를 요구한다. 3월 말 미국무역대표부가 발표한 무역장벽 보고서에서는 인천 등 세 곳의 경제자유구역을 개방의 표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자유무역협정은 경제자유구역을 전국화하는 것이고 이렇게 되면 학교와 병원은 영리법인이 되어 등록금과 의료비를 자기 마음대로 올려받을 수 있게 된다. 병원만 보자면 건강보험증을 안 받는 귀족병원이 생기는 것이다. 한마디로 미국식 의료의 한국 이식이다. 미국의 의료비는 어떨까? 맹장수술이 1000만원, 분만료가 700만원, 사랑니 하나 뽑는 비용이 100만원이다. 국민소득 차이를 고려해도 의료비가 한국의 열 배가 넘는다. 유학생들이 사랑니를 뽑으려면 한국에 왔다 가는 게 비행기 값 빼고도 이익이라는 것은 농담이 아니다. 오죽하면 체육시간에 아이들이 어디 다치기라도 하면 그 치료비가 엄청나 학교재정에 문제가 생길까봐 체육시간에 자습을 시키는 학교가 미국에서 문제가 될까?

외환위기 때 한국 정부는 수많은 공기업을 헐값으로 국외기업에 매각하였다. 그 결과는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바다.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이제 그때 기업에 팔아치우지 않은 공적서비스 분야를 몽땅 기업에 넘겨주자는 것이다. 이 협정의 결과는 수도요금, 가스, 전기요금, 그리고 교육비, 의료비의 폭등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제2의 외환위기라고 부르는 것은 과장이 아니다. 상수도를 팔아넘기려던 볼리비아의 로사다 대통령은 민중의 항의에 계엄령까지 동원했으나 결국 벡텔사가 볼리비아에서 쫓겨난다. 로사다 대통령도 2003년 가스까지 미국기업에 넘기려다 결국 민중들의 손에 쫓겨났다. 이것이 볼리비아만의 일일까?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국장·의사

Tuesday, April 11, 2006

황사


Monday, April 10, 2006

박지성 골인~


모처럼 맨체스터 축구 경기를 보았다. 마침 박지성이 골을 넣었다. 잠이 확 달아났다. 얼마나 좋을까~

Friday, April 07, 2006

Leonardo


잠시 고민

잠시 고민했었다. 몇달간 잊고 있었던 교수한테서 메일이 왔다. 이를 어쩌나...나는 이미 맘을 굳혔는데...장학금을 더 많이 준다고 해도 좋고 마음씨 좋은 교수도, 더 유명한 학교도, 공항도 가깝고, 시장도 크고... 다 좋지만. 나는 공기좋고 조용한 곳에서 살고 싶다. 단 1년이라도. 하루종일 자동차 소리에 매연에...2년동안 대로변에서 살아서 그런디 더더욱 이런 곳에서는 다시 살고 싶지 않다. 어차피 돈이야 조금 부족하면 부족한대로 사는거고. 그래서 교수에게 미안하다고 메일을 보냈다. 내 연구에 가장 관심을 가져주었는데...하지만 그래도 의리가 있지. 의리...어렸을때는 별것도 없으면서 잘난척하는 인간들이 제일 싫었는데 요즘에는 의리 없는 인간들이 제일 재수없다. 그래서 나는 조금 불편할망정 의리를 지키고 나의 꿈 전원생활을 즐길테다. 룰루~

Friday, March 31, 2006

감사합니다

Afrikaans (Africa) - Dankie
Arabic - Sukran
Bengali - Dhannyabad
Cherokee Nation - Wado (Thank you)
Chinese (Mandarin) - Xie_Xie (shieh shieh)
Chinese (Cantonese) Mh goi (m-ghoh-ee) (informal: thanks)
Chinese (Cantonese) Do jeh (tou yeh) (formal: thanks)
Dutch - dank U wel (dahnk you well) (formal: thank you very much)
French - merci (mehr-see')
German - Danke (dahn'-kuh)
Hawaiian - Mahalo
Hebrew - Toda (toh-dah')
Hindi (India National Language) - Dhanyavaad
Indonesian - Terima kasih (teh-ri-mah kah-sih)
Italian - Grazie (grahts'-yeh)
Japanese - Arigato (ah-ree-gah'-toh) or A_Lea_Ga_Tou_Go_Zai_Ma_Su
Jive - Thanks mon - Appropriate only if directed to a male
Korean - Kamsa hamaida (kam'-sah hum-nee-dah' )
Malaysian - Terima Kasih ("Tay ree ma Kaa seh")
Mali (Mandinka) - Abarka
Nepali -- (Nepal National Language) - Dhan-ya-vaad
New Zealand - Cheers - LOL
Norwegian - Takk (tahkk)
Oman - Shakkran
Paraguay (Guarani) - Aguije (ah-we-JAY)
Persian/Farsi - Mam'noon or Mo'teshake'ram (Spoken in Iran, Afghanistan and other Central Asian countries)
Philippines Tagalog - Salamat
Philippines - Maraming Salamat (thank you very much)
Polish - Dziekuje (dsyehn-koo-yeh)
Portuguese - Obrigada
Punjabi [ Pakistan and India] - Bhala Hove
Qatar - Shakkran
Romanian - Multumesc (phonetic: mooltzoomeask)
Russian - Spasiba (spah-see'-boh)
Samoan - Fa'afetai
Scottish - Cheers
Senegal (Mandinka) - Abarka
South Africa - Baie Dankie (thanks very much - "Buyer Dung-Key")
Spanish - Gracias (grah'-syas)
Sundanese - Nuhun
Swahili - Ahsante (ah-sahn'-teh)
Swedish - Tack (tahkk)
Tahitian - Maururu
Tamil (India) - Nandri ("Nun-dry" spoken in South India, Singapore, Malaysia)
Teenager -
Telungu (South Indian Language)- Manjuthe
Tibetan - Thuk Ji Chhe
U.S. & Canada - Thank You
United States (South) - Thanks y'all
Ukranian - Dyakuyu
Urudu (India) - Shukria
k you very much)
Urdu (Pakistan) - Bahut Bahut Shukria ( Thank you very very much)
Uzbekistan (Uzbek) - Rahmat (Thanks)
Vietnamese - Kam ouen
Wales/Cymru - Diloch yn fawr (thank you very much)
Xhosa (Africa) - Nkosi
Yemen - Shakkran
Yugoslavia - Hvala
Zulu - Ngiyabonga

Thursday, March 30, 2006

닮았네 ㅋ


혹시 루니의 숨겨둔 동생이 미국에 ㅋㅋ

Wednesday, March 29, 2006

좌파신자유주의

글. 홍세화(한겨레신문사 직원)

언어 사용의 혼란은 사회의 혼란을 반영한다고 합니다. 노무현 대통령의 ‘좌파 신자유주의’라는 말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신자유주의 좌파’가 아니라 ‘좌파 신자유주의’라고 말한 점도 흥미로운데, 이에 대해, 한나라당에선 노대통령을 ‘좌파’라고 비판하고 다른 쪽에서는 ‘신자유주의’라고 비판하는 것을 응수한 말이라는 그럴 듯한 해석이 있었습니다. 그보다는 “말은 ‘좌파’로 하고 행동은 ‘신자유주의’로 한다”는 게 더 정확한 해석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좌우’라는 말이 프랑스 대혁명을 계기로 시작되었다는 점은 잘 알려진 일입니다. 1789년 7월14일 바스티유 감옥을 쳐부수면서 시작된 대혁명은 급기야 군주제를 지속한 것인가 아닌가로 치닫게 됩니다. 그 때 입헌군주제에 찬성했던 의원들이 의회의 오른쪽에 자리를 잡았고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제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던 의원들이 의회 왼쪽에 모였던 일에서 좌우라는 말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좌우의 차이는 그렇게 분명했는데, 결국 1792년에 공화국이 선포되고 루이16세는 ‘루이 카페’라는 평민의 이름으로 1793년 1월에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집니다. 하지만 그것으로 프랑스의 군주제가 종식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나폴레옹이 15년 권세 이후 몰락하면서 왕정은 복고되었고 1848년 2월 혁명까지 군주제는 지속됩니다. 1848년 2월 혁명으로 마침내 앙샹 레짐은 끝나는데, 오늘날 전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의 모태인 자유주의가 그 모습을 분명히 드러낸 게 바로 이 때부터입니다. 구체제가 무너졌다는 것은 신분질서와 토지의 지대에 바탕을 둔 귀족체제가 무너졌다는 것을 뜻하는데, 그 때까지 구체제에 맞섰던 시민계급은 무산자계급과 유산자계급으로 나뉘어 전자는 사회주의(좌)를, 후자는 자유주의(우)를 지향하게 되었다고 거칠게 말할 수 있겠습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산당 선언〉이 1848년에 나온 것도 우연만은 아니었고 시대의 반영물이었지요.

좌우는 시대의 변화에 조응합니다. 구체제 아래 ‘좌’였던 부르주아는 프롤레타리아와 함께 구체제를 무너뜨렸지만 그러자마자 곧 ‘우’에 자리를 잡습니다. 과거에 스스로 ‘좌’라고 했던 사람도 일단 권력을 장악하면 ‘우’에 자리 잡으려는 경향이 강한 것도 당연한 일이겠지요. 각 개인도 나이를 먹어가면서 재산을 축적하면 점차 우경화하는 경향을 가집니다. 다행스럽게도 그것이 철칙은 아닙니다만.

대개 사람은 사회 환경의 변화에 조응하면서 스스로 바뀝니다. 천천히 바뀌기 때문에 바뀐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겠지요. 박정희 정권의 사형수였던 이철씨가 오늘 철도공사 사장이 되어 신자유주의 전선에 서서 KTX 여승무원들을 탄압하고 있습니다. 과연 청년 학생 시절의 그는 자신의 오늘 모습을 상상이나 할 수 있었을까요? ‘좌파 신자유주의’라는 말은 그 자체가 어불성설인데, 어쩌면 그것이 오늘 우리 사회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어불성설이라는 점에서.

Fake


그러니까...포토샵 프로그램을 맥킨토시(버전은 생각이 안난다)로 처음 뭔가를 만들어 보기 시작했던 1995년에 나도 이렇게 fake 작품을 만들어본 적이 있었는데. 물론 그때 나는 카페 사인(스타벅스 로고가 들어있는)대신 이발소 3색 간판을 스캔해서 옮겨 붙였기 때문에 이 작품의 의도와는 좀 달랐다. 내 자랑은 아니지만, 지금 보니 그때 내 아이디어가 훨씬 더 재밌다. ㅎㅎㅎ 그런데 뉴욕에서는 아직도 이런 작품으로 먹고 사는 작가들이 있다는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그것도 비싼 가격에 팔아먹으면서. 그걸 사는 사람들은 무엇을 재밌어한 것일까. 무엇에 대한 댓가로 자신의 돈을 지불했을까. 괜히 스타벅스 커피만 먹고 싶네~ 스타벅스는 세일 안하나? 넘 비싸..그렇게 한국대학생들 코묻은 돈 많이 벌어갔으면 됬지...뭘 더...

대한민국이 싫은 날

오늘같이 새벽부터 애국가 부르고 국기에 대한 맹세하고 무슨 선서 같은 거 하고 줄 서서 도장받고 --로서의 의무...어쩌고하는 따위의 잔소리를 누리끼끼한 제복에 각잡힌 모자 쓰고 배가 남산만하는 생전 모르는 양반한테 들으며 춘삼월 꽃샘 추위에 덜덜 떨때... 국회에서 법을 안바꾸어주면 이 짓을 50살 가까이 될때까지 해야할지도 모른다는 기분 더러운 소리를 들어도 아무 반항 못하고 국가에 충성해야 하는..안 그러면 이보다 더한 의무에 시달리는...그런 나라에 살고 있는 나를 발견할 때 나는 애국도 싫고 대한민국도 싫어진다(오늘 들은 얘기 중 골때리는 것 하나. "대한민국의 역사를 보면 요즘 처럼 평화가 오래 계속되면 꼭 전쟁이 나요..전쟁이...전쟁 언제 날줄 모르니 항상 맘속에서 긴장을 해야합니다" 윽...앞으로 뛰어나가서 멱살이라도 잡고 싶었다 그런데 진정하고 주위를 둘러보니 그 이야기 듣고 있는 아저씨는 거의 없는 듯 다들 땅 쳐다보고 무표정에 혹은 핸드폰가지고 고스톱하고...그래서..그래 참는다 참아..너 같은 놈이 있으니 황우석 같은 놈이 배장 튕기는 거지...) 이렇게 오늘 아침은 시작되었다.

Monday, March 27, 2006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

엘리스: "채셔고양이님, 제발 내가 어디로 가야하는지 알려주세요."
고양이: "흐음... 그건 네가 어디로 가고 싶은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엘리스: "일단 어디로 가기만 한다면 그게 어디인지는 크게 상관없어요."
고양이: "그래? 그렇다면 나한테 어디로 가야되는지는 왜 물어보니?!"

Sunday, March 26, 2006

새것


점심엔 라면을 먹었다. 어제 롯데마트가서 새로 샀다. 요샌 다섯개 묶음 하나를 사면 한개를 더 준다. 새로운 라면을 골라 보았다. 미소라면. 된장 맛이 난다고 해서 궁금했다. 값도 저렴. 그리고 양은냄비도 하나 샀다. 2천원짜리. 진작 사려고 맘먹고 있었는데. 마침 라면코너 바로 옆 선반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어서 무의식적으로 집었다. 라면과 양은냄비. 많은 사람들이 환상의 콤비로 생각하고 있으니 오랜만에 그 커플의 맛을 봐야지...미소라면은 예상대로 국물의 뒷맛이 부드러웠고 덜 자극적이었다. 면도 거칠지 않았다. 계란 좀 아낀답시고 뻑뻑한 면발 만드는 몇몇 라면회사의 저가 라면에 비하면 좋았다. 냄비의 성능은 잘 모르겠다. 솔직히. 물이 좀 빨리 끓은 것 같기도 하고. 하지만 뚜껑에 받쳐먹는 것만으로도 뭐...

Wednesday, March 22, 2006

사랑은 아무도 못말려


요즘 시간날때 채널고정하고 보는 드라마가 2개다. 하나는 네덜란드나 영국의 풍경화 같은 흔히 말하길 영상미 좋은 화면이 가득한 '봄의 왈츠'라는 월화드라마이고. 다른 하나는 일일연속그 '사랑은 아무도 못말려'이다. 후자에서는 정말 아무도 못말릴 일들이 연일 터진다. 막내딸은 임신했다고 거짓말했다가 결혼 전날 들통나고 하지만 결혼은 그냥 할 수 밖에. 큰딸은 동거남 사이에 진짜로 아기가 생겨서 아직 막내딸 충격이 채 가시지 않은 엄마에게 이 사실을 고백했다. 참 환장할 일이다...대부분의 세상 엄마들은 자식의 결혼을 자신의 결혼보다 더 중요한 인생최고의 프로젝트로 여긴다. 그러니 억장이 무너질수밖에. 부모님 맘이야 다 그러니...그런가보다 한다. 돌이켜보면 나는 아무도 못말릴 사랑을 하지 못했다. 비겁했다. 그나저나 앞으로 또 어떤 일이 일어날지 ㅋㅋ 이제 정말 아줌마가 되어가는구나...드라마와 나의 과거를 비교하기까지 하고 ㅎㅎㅎㅎ 아 누구 나좀 빼내줘...

Tuesday, March 21, 2006

영화

남들은 영화에서 무한한 상상력을 얻는다는데. 나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영화를 두달, 세달 동안 보지 않아도 보고싶다는 생각이 전혀 나지 않을 때가 많은 편이다. 그 수많은 조작된 화면에서 나는 오히려 문자를 발견한다. 눈이 부시게 아름다운 화면에서도 나는 '눈이 부시게 아름답구나'라는 문장으로 화면을 이내 덮는다. 이래도 되는건가??? 오늘도 날밤샌다. 이번주까지만 고생하면 급한 건 대충 끝난다. 운동해야겠다. 요새 갑자기 막 뛰어다니고 싶다. 내가 바로 바람난 봄처녀다 봄처녀~ ㅋㄷㅋㄷ

Monday, March 20, 2006

Bruce Sterling

Bruce Sterling: "Make No Decision Out of Fear!"

Alex Steffen

WC Ally#1, Bruce Sterling, just gave two major talks back to back and both should be of immediate interest to worldchangers.

The first, delivered at the O'Reilly Emerging Technologies conference, is all about spimes. the emerging Internet of Things and why people keep making up terms like "spime" and phrases like "the Internet of Things"

"A neologism, a completely made-up word like 'spime,' is a verbal framing device. It's an attention pointer. I call them "spimes," not because I necessarily expect that coinage to stick, but because I need a single-syllable noun to call attention to the shocking prospect of things that are plannable, trackable, findable, recyclable, uniquely identified and that generate histories.

I also wanted the word to be Google-able. If you Google the word 'spime,' you find a small company called Spime, and a song by a rock star, but most of the online commentary about spimes necessarily centers around this new idea, because it's a new word and also a new tag. It's turning into what Julian Bleecker calls a 'Theory Object,' which is an idea which is not just a mental idea or a word, but a cloud of associated commentary and data, that can be passed around from mouse to mouse, and linked-to. Every time I go to an event like this, the word "spime" grows as a Theory Object. A Theory Object is a concept that's accreting attention, and generating visible, searchable, rankable, trackable trails of attention."
The second, his keynote speech at South by Southwest, which you can listen to here, is an entirely different beast altogether. While Bruce throws the crowd some juicy technical tidbits here as well, primarily the SxSW speech is about the future we're building, and what we ought to do about it:

"When you actually ignore reality for years on end, the payback is a bitch brother! ... We're seeing just frantic collisions of fundamentalist delusion with objective reality... We're on a kind of slider bar between the unthinkable and the unimaginable now, bteween the grim meathook future and the bright green future. There are ways out of this situation; there are actual ways to move the slider bar from one side to the other, except that we haven't invented the words for them yet."
The challenge, Bruce says, is that the worst people in the world -- genocidal ethnic mafiosos, fundamentalist fanatics, Washington lobbyists -- are running the show, American government has become the new Soviet Union (ossified, corrupt and widely perceived as illigitimate by the rest of the planet) and things are not good in much of the world. That said, if you look honestly at the world, you see a new story emerging, with millions of smart, dedicated people locked in a struggle to steer us towards a better future using every tool in their power, and that "that's a big story!" Finally, he reminds those of us who are part of that story of the motto of the old Soviet-era Eastern European dissidents: "Make no decision out of fear."

That's damn good advice. These are damn fine speeches. Bruce, well done.

Sunday, March 19, 2006

리버풀

가고 싶은데...아..야속한 돈...

Thursday, March 16, 2006

빌 게이츠가 보기에 100달러 노트북은 안 되~


Bill Gates mocks MIT's $100 laptop project

By Joel Rothstein

WASHINGTON (Reuters) - Microsoft Corp. (MSFT.O: Quote, Profile, Research) Chairman and Chief Software Architect Bill Gates on Wednesday mocked a $100 laptop computer for developing countries being developed with the backing of rival Google Inc. (GOOG.O: Quote, Profile, Research) at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he $100 laptop project seeks to provide inexpensive computers to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The computers lack many features found on a typical personal computer, such as a hard disk and software.

"The last thing you want to do for a shared use computer is have it be something without a disk ... and with a tiny little screen," Gates said at the Microsoft Government Leaders Forum in suburban Washington.

"Hardware is a small part of the cost" of providing computing capabilities, he said, adding that the big costs come from network connectivity, applications and support.

Before his critique, Gates showed off a new "ultra-mobile computer" which runs Microsoft Windows on a seven-inch (17.78-centimeter) touch screen.

Those machines are expected to sell for between $599 and $999, Microsoft said at the product launch last week.

"If you are going to go have people share the computer, get a broadband connection and have somebody there who can help support the user, geez, get a decent computer where you can actually read the text and you're not sitting there cranking the thing while you're trying to type," Gates said.

Gates described the computers as being for shared use, but the project goes under the name "One Laptop per Child." A representative for the project did not immediately reply to an inquiry seeking comment.

Earlier this year, Google founder Larry Page said his company is backing MIT's project. He showed a model of the machine that does use a crank as one source of power.

"The laptops ... will be able to do most everything except store huge amounts of data," according to the project's Web site.

Tuesday, March 14, 2006

Art-Place-Technology

Art-Place-Technology

International Symposium on Curating New Media Art
Liverpool School of Art & Design and FACT Centre
30 March - 1 April 2006

http://www.art-place-technology.org

New media art is a global phenomenon: a rapidly changing and dynamic field of creative practice which crosses conventional categories and disciplinary boundaries, challenging our assumptions about art.

- How do curators engage with new media art?
- What makes a good curator of new media art?
- What can we learn from the pioneers of this field?
- What does the future hold for curating new media art?
- What common ground exists with other disciplines?

These and other issues will be explored at Art-Place-Technology. Speakers include figures who are shaping the practice and theory of curating new media art, including:

Inke Arns, Artistic Director, Hartware MedienKunstVerein, Dortmund.
Sarah Cook, Curator and Co-editor, CRUMB, University of Sunderland
Paul Domela, Deputy Chief Executive, Liverpool Biennial
Lina Dzuverovic, Director, Electra, London
Charlie Gere, Reader in New Media Research, Lancaster University
Beryl Graham, Curator and Co-editor, CRUMB, University of Sunderland
Ceri Hand, Director of Exhibitions, FACT, Liverpool
Drew Hemment, Director, Futuresonic, Manchester
Kathy Rae Huffman, Director of Visual Arts, Cornerhouse, Manchester
Stephen Kovats, International Programs Developer, V2, Rotterdam
Amanda McDonald Crowley, Director, Eyebeam Art & Technology Center, New York
Francis McKee, Head of Digital Arts & New Media, CCA, Glasgow
Alfred Rotert, Co-director, European Media Art Festival, Osnabrück
Trebor Scholz, Institute for Distributed Creativity, New York
Dimitrina Sevova & Alain Kessi, codeflow, Zurich
Paul Sullivan, Director, Static Gallery, Liverpool
Simon Worthington, Mute, London

Art-Place-Technology will look at historical and current projects by some of the world's leading curators of new media art, and discuss how curating new media art creates interfaces with the art world, museum culture, media, publishing and academia.

Further programme details and registration:
http://www.art-place-technology.org
Tel +44 (0)151 2315190
E-mail APT@ljmu.ac.uk

Art-Place-Technology is hosted by the Liverpool School of Art & Design, Liverpool John Moores University in collaboration with FACT and Art Research Communication.

미국을 이긴 야구 대표팀



난리가 났다. 꼭 무슨 전쟁에서 이긴양...그래도 야구는 축구보다 재미가 없다. 왜 유럽인들은 축구에 비해서 야구를 재미없어 하는 것일까. 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야구는 무척 수동적인 경기다. 투수가 던지는 볼에 따라 점수가 나고 경기장에 선수들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경기의 시작은 수비하는 투수의 손 끝에서이다. 하지만 점수는 투수가 내는 게 아니고 공격할 타자가 낸다. 투수의 볼을 받아치는 타자에 의해서. 미국애들 좋아서 환장하는 미식축구도 비슷하다. 하지만 축구는 공격을 하고 싶은 자에 의해 게임이 시작된다. 공을 가진 사람은 공격을 한다. 수비자에게는 경기를 리드할 힘이 없다.

He skied it past the right-field foul pole!! Big Choi!!

Monday, March 13, 2006

법정에 선 '다빈치코드'의 댄 브라운


Dan Brown denies stealing ideas for Da Vinci Code
Vik Iyer and agencies





Millionaire author Dan Brown today entered the witness box to reject claims that he stole ideas for his blockbuster novel The Da Vinci Code, branding the allegations "completely fanciful".



In a scathing attack on the two authors accusing him of plagiarism, Mr Brown said they made "sweeping statements" which "astounded" him and were "simply untrue."


He appeared at the High Court in London to defend his publisher against claims that his internationally successful thriller novel lifts from The Holy Blood And The Holy Grail, a bestseller itself after it was published in 1982.

Mr Brown's evidence served to offer an intriguing glimpse into what inspired him to construct the plot of his book which has captured the imagination of millions.

Mr Brown, who said he thought about giving up writing before embarking on his breakthrough novel, said that his wife carried out much painstaking research for the book.

Both books under the spotlight explore theories that Jesus married Mary Magdalene and then had a child with her, thus creating a surviving bloodline. Mr Brown's novel has created a phalanx of spin-off books and documentaries.

Authors Michael Baigent and Richard Leigh are suing The Da Vinci Code publisher Random House for copyright infringement, claiming that Brown "appropriated the architecture" of their novel.

Mr Brown’s fast-moving theological thriller has sold more than 40 million copies since it was published three years ago this week. Publicity from the ongoing court case appears to have produced a surge in sales for The Holy Blood and the Holy Grail too since the trial began, going from about 350 copies sold a week in Britain to 3,000, according to trade publication, The Bookseller.

Mr Brown said much of the research for the book was done by his wife, Blythe, saying that she was "deeply passionate about the sacred feminine". But the 41-year old author, who has travelled from his home in the United States, said that The Holy Blood And The Holy Grail was just one of many book he had studied.

In a statement put before the court, Mr Brown said: "Messrs Baigent and Leigh are only two of a number of authors who have written about the bloodline story, and yet I went out of my way to mention them for being the ones who brought the theory to mainstream attention.

"I have been shocked at their reaction. Furthermore I do not really understand it."

He added: "The documents contain numerous sweeping statements which seem to me to be completely fanciful. I would like to restate that I remain astounded by the claimants’ choice to file this plagiarism suit."

Mr Brown also gave an insight into his routine a writer, saying that he viewed creative writing as "a discipline" that required constant practice and honing of skills. He said: "For this reason, I write seven days a week. So my routine begins at around 4am every morning, when there are no distractions."

Mr Brown said that his love of codes was inherited from his father, a mathematics academic, and he would spend hours when he was a child working out anagrams and crossword puzzles.

Instead of receiving presents at Christmas, his parents would leave a treasure map with clues which, if properly solved, would lead to a secret location in the house or even around the town where they lived, the court heard. He said: "It was wonderful fun - for me codes and treasure hunts have always been a passion."

Speaking of what led him to write the novel, Mr Brown explained that one of the novel's themes was "secret history", those parts of the past which had been lost or twisted by historical revision or subversion. He said: "This blend of fact and potential intrigues me and is one of the reasons I love Leonardo da Vinci."

Thursday, March 09, 2006

세계 여성의 날



3월 8일 세계여성의 날은 1908년 3월 8일 미국의 1만5천여 여성노동자들이 뉴욕의 루트거스 광장에서 모여 선거권과 노동조합 결성의 자유를 쟁취하기 위해 대대적인 시위를 벌인 것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당시 미국의 여성노동자들은 먼지 자욱한 현장에서 하루 12~14시간씩 일해야 했고, 귀부인들의 화려한 외출복에 은색, 금색의 번쩍이는 장식을 박느라 눈이 머는 여성이 생기기도 하였으나, 여성들에게는 선거권과 노동조합 결성의 자유가 주어지지 않았다. 굶지 않기 위해 일하면서도 인간 이하의 삶을 강요받아야 했다. 1908년 3월 8일 전 의류노동자들의 시위를 계기로 매년 3월 8일을 ‘세계여성의 날’로 선정하였고 그 이후부터 세계 곳곳에서 여성의 날 기념행사를 펼쳐오고 있다. 이에 미국에서는 3월 한 달 간 여성단체들이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고, 중국에서는 3월 8일을 공식휴일로 지정해 여성들을 위한 갖가지 행사를 국가에서 열어주는 등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기념행사들이 진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