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November 21, 2006

Manchester




new published book: The Meaning of Art






[조선일보 2006-11-17 21:38:22] [조선일보 이규현기자]

예술=미(美)라는 생각 버려라

예술의 의미 허버트 리드 지음 | 임산 옮김 | 에코리브르 | 304쪽 | 1만6500원


“이런 것도 예술이야?” 괴기스러운 그림을 보고 이렇게 말한다면 그 이유는 아마 ‘예술=미(美)’라는 생각 때문일 것이다. 영국의 미술비평가이자 시인인 저자는 “예술과 미를 동일시하는 바람에 우리는 예술을 감상할 때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해 무릎을 치게 만든다. 1931년에 씌어진 이 책은 예술과 미의 개념을 분석하고, 원시부터 현대까지 실제 그 개념이 어떻게 형상화돼 왔는지 시대순으로 짚는다. 술술 읽히는 쉬운 책은 아니다. 하지만 “예술은 마음을 기쁘게 하는 형식을 창조하려는 시도” “예술은 지성적 활동이라기보다는 직관적 활동이다. (그래서) 원시예술이 그리스 예술보다 미의 등급 면에서 하위에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예술작품을 바라보다 즉각적인 해방을 경험할 수 있다”는 해석 등은 ‘대체 예술이 무엇인가’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해답을 줄 수 있을 듯하다. 작가는 시대별 미술의 특징을 설명한다. 단, 간추린 서양미술사는 아니다. 예를 하나 들자면 풍경화의 종주국인 영국의 게인스버러, 컨스터블, 터너의 예술에는 ‘자연을 신뢰하는 태도’가 있었다는 점에서 독일 예술의 ‘즉물주의’, 프랑스 예술의 ‘냉소적 사실주의’와는 다르다라고 설명한다.

(이규현기자 [블로그 바로가기 kyuh.chosun.com])

==========================================
[경향신문]

직관으로 이해하고 감성으로 느껴라

영국의 미술비평가이자 시인인 허버트 리드가 80여 년 전 쓴 ‘예술의 의미’는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 물음에 답하는 책이다. 리드가 내놓은 답은 ‘예술은 인간 본성의 발현’이라는 것이다.

이 답은 웬만한 사람이라면 떠올릴 수 있는 것 아니냐고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추상예술을 비롯한 갖가지 예술이 등장하던 20세기 초, 그 어리둥절한 시대에 쉬운 답이 아니었다. 순수예술 옹호자인 리드는 예술을 설명하거나 사상으로 해석하려는 행동을 못마땅해 했다. 그에 따르면 예술은 직관으로 이해해야 하고 감성으로 느낌으로써 일종의 마음의 해방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사상이 난무하고 이런저런 잣대로 예술을 재단하는 당시 상황을 그는 마음 아파했을지 모른다. 리드의 심정은 어쩌면 게오르그 루카치가 명저 ‘소설의 이론’ 첫머리에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의 지도를 읽을 수 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라고 토로한 심정과 비슷할지 모른다.

결과적으로 예술에 대한 리드의 정의는 가장 보편적이고 가장 명료한 것이 됐다. 위대한 예술작품이 시대를 초월해 감동을 주고 그 가치가 빛나듯이 리드의 예술론 또한 시대를 초월해 가치를 빛낸다. 예술론을 공부하자면 허버트 리드의 ‘예술의 의미’를 꼭 거쳐야 한다. 굳이 전문적으로 파고들고자 하는 생각이 없더라도 이 책은 읽기에 어려움이 없어 교양서로도 손색이 없다.

리드는 예술과 미를 구분할 것을 주문한다. 리드는 예술을 감상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예술과 미를 동일시하는 데 기인한다고 본다. “예술이 반드시 미는 아니다”라는 그의 말은 바꿔 말하면 ‘아름답다고 해서 모두 예술은 아니라’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은 물론 인간의 감성에 호소한다. 그러나 리드의 가르침을 따른다면 또 하나 구분해야 할 것이 있는데 그것은 예술과 감상성(感傷性)이다. 예술과 감상성은 둘 다 억제되어 있는 우리의 감정을 해방시킨다. 그러나 예술과 감상성은 다음과 같이 본질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감상성은 해방이면서 일종의 느슨함이요, 정서의 이완이다. 반면 예술은 해방이면서 동시에 긴장이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감정의 절제이고 훌륭한 형식을 키우는 정서이다.” 예술과 감성의 차이를 명쾌하게 정의한 리드의 이 말은 그의 통찰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대변해준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형식과 내용을 가볍게 다룬 것은 아니다. 오히려 리드는 예술에서 형식과 내용을 굉장히 중요시했고 여러 요소의 유기적인 결합, 즉 통일성을 예술작품의 필수조건으로 꼽았다. 형식과 내용을 무시한다면 그것은 예술이 아니라 감상성에 어울리는 것이 될 것이다. 형식과 내용, 통일성이 멋지게 조화해야만 진정 아름다운 예술이 될 것이다.

리드는 이와 같은 예술론에 입각해 석기시대 암벽화, 부시맨의 암면채화 등 원시예술부터 20세기 초의 예술까지 설명한다. 대부분 회화, 조각, 건축, 공예와 같은 조형예술에 치중하고 있어 음악과 문학을 포괄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작품해석, 작가론, 예술의 의미와 가치 등이 망라돼 있어 ‘예술론’이라는 카테고리에 묶이는 데는 무난하다. 1950년 발표된 곰브리치의 기념비적 저작인 ‘서양미술사’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간략하게나마 서양미술사를 정리했다고 볼 수도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 1985년 문예출판사를 통해 소개된 적이 있으나 저작권 문제로 절판되었다가 이번에 저작권 협의를 마치고 재출간된 것이다. 번역자도 바뀌었다.

<임형도 기자>